스토리보드(3)
-
프로젝트의 최종 산출물, 스토리보드(Storyboard | SB)
안녕하세요, Jlight입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서비스 설계의 최종 산출물, 스토리보드(Storyboard | SB)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그럼 본격적으로 들어가 볼까요❓ 스토리보드(Storyboard | SB)란? 스토리보드는 디자이너 / 개발자가 참고하는 최종적인 산출물입니다. 서비스에 대한 정책, 프로세스, 콘텐츠 구성, 와이어프레임, 기능 정의 등 서비스 구축을 위한 모든 정보가 담겨있는 문서입니다. IA(Information Architecture)과 와이어프레임(Wireframe)이 서비스를 통해 서비스에 대한 전체적인 청사진을 그렸다면, 스토리보드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정책부터 프로세스, 핵심기능에 대한 와이어프레임뿐만 아니라 예외. 오류 처리 등 전체적인 설계가 들어간 문서입니다. ※이..
2020.06.15 -
웹, 모바일을 위한 I.A(Information Architecture, 정보구조도)
안녕하세요, Jlight입니다. 이번 시간에는 서비스 설계의 기초인 정보 구조도(Information Architecture)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I.A.의 기초 이론과 역할 그리고 구조도 작성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그럼 본격적으로 들어가볼까요? I.A(정보 구조도)란? I.A.는 간단하게 말해서 서비스의 목차 역할을 수행합니다. 웹 혹은 어플리케이션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보여주며 어떤 기능의 화면으로 보여지는지를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도구입니다. 이를 통해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편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만든 문서이기도 하며 기존 웹 사이트처럼 복잡한 구조에서 사이트의 틀을 짜고 콘텐츠 구성 뿐만 아니라 디자인,개발의 일정 관리도 통합해서 진행하였기 때문에 역할이 중요하였습니다. 그러나 모바..
2020.06.12 -
(포스팅 예고) 서비스 기획 - 커리큘럼
안녕하세요! Jlight입니다. 앞으로 기획의 기본 개념과 각 단계별로 진행되는 과정에 대해 포스팅 예정입니다. 각 프로세스의 개념과 실제로 적용하는 방법 및 다양한 글을 작성할 예정입니다. 순서대로 작성할 예정이며 기획을 처음 시작하는 Begginer에 맞춰 진행됩니다. 첫 시작인 문제정의 부터 '고객'에 맞춰 서비스를 기획하는 방법, 비즈니스 모델의 개념 및 서비스 설계에 관련된 모든 내용을 다룰 예정이며, 서비스 설계 부분에서는 특히 '모바일 어플리케이션'을 중심으로 작성 할 예정입니다. 우선❗️ 본격적인 포스팅에 앞서, 간단한 커리큘럼을 알려드릴게요. 포스팅에서는 크게 3가지를 다룹니다. 1. 아이디어를 내고 이를 구체화 하는 단계, 아이디어 구체화(What) 2. 도출한 서비스에 대한 구체적인 ..
2020.06.01